본문 바로가기
알면 쉬운 잡다한 정보

블랙푸드. 흑삼이란? 면역력 증가에 흑삼이 좋다?

by 빛나리77 2023. 5. 19.

오늘은 건강에 좋은 흑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흑삼의 원료는 당연히 인삼입니다.  예로부터 인삼 하며 고려인삼을 최고로 생각하고 뛰어난 효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래서 중국, 일본, 베트남 등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이것을 9증 9포라는 공정을 거쳐서 검은삼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흑삼입니다.^^ 그렇다면 흑삼의 가공방법과 효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올바른 선택을 하실 수 있도록 함께 알아보자고요^^

 

1. 흑삼의 제조방법

흑삼의 전통적 제조방법은 수삼을 찌고 말리는 과정을 9회 반복해서 만들어지는 9증 9포의 방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집니다.  현재는 흑삼도 인삼산업법이라는 법령아래 인삼류의 제조기준을 설정하고 위생, 안전, 품질을 관리하여 우수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인삼산업법 시행규칙 별표 1) 그렇다면 인삼류의 제조기준 중 흑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흑삼에는 흑삼본삼, 원형흑삼, 흑미삼류 및 그 밖의 흑삼류로 분류하여 제조합니다.

 - 흑삼본삼 : 머리와 몸통 및 다리 부분이 같이 붙어 있는 상태로 제조된 것

 - 원형흑삼 : 머리. 몸통. 다리 및 다리의 잔뿌리까지 수삼원형 그대로 제조된 것

 -  흑미삼류 : 흑삼으로부터 분리한 다리 또는 잔뿌리로 제조된 것(대미, 중미, 세미로 구분)

 - 그 밖의 흑삼류는 절삼흑삼, 절편흑삼 및 분쇄 흑삼을 말함

상기의 분류는 사실 가공품으로 만나는 흑삼이 아니라 다림방, 약재방 등에서 만날 수 있는 뿌리삼을 만들 때 사용되는 원료입니다. 건조되어 있는 흑삼을 옛날에는 다림방에서 직접 다려서 드시는 분들이 많았지만 현재는 번거로움 때문에 제품화된 것을 찾는 분들이 많아서 일상에서 보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건조된 흑삼을 원료로 삼아 추출, 농축 작업을 거쳐 흑삼농축액이 만들어지고 이 흑삼농축액을 타 부원료와 섞어서 흑삼음료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흑삼의 법적 제조기준을 보면 원료수삼을 선별. 세척하고 크기별로 구분한 후 증상장치를 이용하여 수증기 또는 그 밖의 방법을 쪄서 익히고 건조하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한다. 이 경우 건조하는 온도는 60℃ 이하로 한다.

삼체의 수분함량은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검사기준에 적합하도록 가공. 선별하여 계량 후 포장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흑삼을 만들 때 9증 9포가 아니라 3증 3 포만하더라도 흑삼이 된다는 것입니다. 옛날에는 수삼을 쪄내는 기술과 장비 발달되지 않아 시루 같은 용기를 사용하여 작업을 했으나 현재에는 증삼기와 건조기 등 발전된 설비를 가지고 온도와 시간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며 제조하기 때문에 3회만 하더라고 옛 9증 9포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2. 흑삼의 검사기준 및 방법

 인삼산업법에서 흑삼의 검사 기준을 한번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분(15% 이하), 벤조피렌(식품위생법 기준), 중금속(식품위생법, 약사법 기준), 회분(5% 이하), 농약잔류허용기준(농수산물 품질관리법 및 식품위생법), 이물, 보존료, 인공색소, 표백제, 세균수(5만 이하, 진공은 3천/g이하), 대장균군(음성), 내용량은 표시량 이상, 인삼성분(조사포닌 본삼류 2.0 이상, 미삼류(3.0 이상), 세미류(5.0 이상)), 진세노 사이드함량(Rg3의 함량이 0.1% 이상, Rk1 및 Rg5의 함량의 합이 0.2% 이상일 것)입니다. 여기서 기존 인삼류와의 차이가 발생됩니다. 기존 인삼류는 Rg1(0.1% 이상) Rb1(0.2% 이상)으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었으나 흑삼이 2023.03.16부로 Rg3, Rk1, Rk5의 진세노사이드 성분기준이 수립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이전에는 홍삼과 동일한 기준으로 검사를 진행하였으나 열처리 변화에 따른 성분변화를 감안하여 새로이 기준을 설정하였기에 흑삼의 비교가치 분명하게 생겼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외 연근기준, 품질등급기준(1등_천삼, 2등_지삼, 3등_양삼 등)의 검사방법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탄생한 흑삼은 우리가 믿고 먹어도 될 정도록 철저한 품질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3. 흑삼의 성분 및 효능

흑삼은 수삼, 백삼, 홍삼과의 차이를 나타낼 때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와 색에 의해 확연히 구분됩니다. 특별히 색은 검은색을 띠고 진세노사이드 Rg3, Rk1, R5의 3개 성분이 특히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납니다.(약 홍삼대비 3배 이상 증가)

이것을 통해 동물실험을 한 결과 천식염증인자 억제효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제와 비슷한 효과를 나태내고 있습니다. 이것으로 유추해 볼 때 흑삼은 호흡기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으음을 과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농촌진흥청 보고내용)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흑삼의 주성분인 Rg3, Rk, Rg5의 성분의 약리효능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진세노사이드 별 약리작용

흑삼의 지표성분인 Rg1, Rb1, Rg3, Rg5, Rk를 붉은색으로 표시했으며 해당되는 약리작용을 참고하셔서 내 몸에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검토 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이 필요하다 생각되면 좋은 제품을 선택하셔서 꾸준히 드시면 좋은 효과를 보실수 있을 것입니다.

 

4. 흑삼의 선택 팁

흑삼은 아직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올해부터 인삼산업법상 흑삼의 기준규격이 설정되어 관리되기 시작하였지만 건강기능식품 원료로는 아직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홍삼기준을 적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을 품목신고하고 있으며 이때 원료를 흑삼농축액을 사용합니다. 건강기능식품으로 나오는 흑삼제품은 현재는 홍삼제품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ginsenoside Rg5, Rk의 기능성을 인정받지 못한 생태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연구를 통해 추가 등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 흑삼제품은 일반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니 표시사항을 꼭 확인하신 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나가 합니다. 오늘도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하는 우리가 되길 소망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