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쉬운 잡다한 정보

'갱년기 건강개선' 호르몬 관리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by 빛나리77 2023. 4. 24.

안녕하세요~ 빛나리입니다.

오늘은 호르몬과 갱년기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 호르몬(Hormone)이란 무엇일까요?

호르몬은 생체의 각종 샘(gland)에서 분비되어 순환계를 통해 이동되어 표적 장기로 수송되어 각종 생리현상과 행동까지도 조절할 수 있는 일련의 신호전달 분자를 말합니다. 특히 신체의 생리적 기능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내분비샘에서 분비되어 표적장기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호르몬이라 하며 내분비계(endocrine system)의 중심적 요소가 됩니다. 호르몬이라는 용어는 동일 세포 신호전달(autocrine 혹은 intracrine signalling)에 영향을 미치거나 주변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paracrine signalling) 화합물 등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습니다

 호르몬의 화학적 구조는 다양하나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s), 스테로이드(steroids), 아미노산/단백질 유래 호르몬(아민, 펩티드, 단백질) 등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아미노산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유래 호르몬(옥시토신, 글루카곤 등),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가 벤젠고리로 바뀐 아민계 호르몬(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 그리고 스테로이드계 호르몬(프로제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 은 서로 구조가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물에 잘 녹는 성질에 따라 수용성 호르몬과 지용성 호르몬(예: 스테로이드계 호르몬 등)으로 나뉘기도 합니다. 이들 지용성 호르몬은 표적 장기로 이동시 지방과 단백질이 결합된 구조로서 운반되게 됩니다.

 

2.호르몬 역할

호르몬은 기관과 조직 간 정보교환을 담당하며 다양한 생리적 현상과 행동을 조절합니다. 신체는 스트레스나 수면 욕구 그리고 슬픔이나 기쁨 등의 감정을 조절할 때 호르몬 분비를 필요로 합니다. 호르몬의 분비는 몸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인체에서 일어나는 소화, 대사, 호흡, 조직 기능, 감각 인지, 수면, 배설, 수유, 스트레스, 성장과 발달, 운동, 생식, 그리고 감정 등에도 모두 관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호르몬은 표적세포의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하여 기능하기 때문에 세포 기능의 변화를 유발합니다.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호르몬 반응은 세포 특이적 반응의 특성을 보이는 데, 빠른 비유전체성 효과(non-genomic effects)를 유발할 수도 있고 또 때로는 좀더 느린 유전체성 반응(genomic responses)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전체성 반응은 호르몬에 의해 세포내 유전자 발현의 증가가 유도되어 결국 표적단백질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아미노산-기반 호르몬(아민계와 펩티드 혹은 단백질 호르몬)들은 수용성 호르몬으로 표적세포의 표면에 위치한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 작용하여 세포내에서 이차 전령자를 포함한 신호전달과정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반면 스테로이드계 호르몬은 지용성으로 표적세포의 원형질막을 통과하여 세포질이나 핵내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한 후, 핵 내까지 도달함으로써 전사조절 등 각종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호르몬 신호전달 경로^^_참고로 알면 좋을것 같아요

   1) 특정 장기에서 특정 호르몬의 생합성

   2) 호르몬의 저장과 분비

   3) 호르몬의 표적 세포로의 이동

   4) 표적세포의 세포막 혹은 세포내 수용체 단백질의 인지

   5) 호르몬 신호의 전달을 통한 세포 반응의 유발.

      (표적세포의 반응은 다시 호르몬-생성 세포에 인지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있어서 종종 항상성 유지를 위한 음성되먹임

        경로(negative feedback loop)로 이용됨)

   6) 호르몬의 파괴          [네이버 지식백과] 호르몬 [Hormone] (분자·세포생물학백과)

3. 호르몬의 불균형

호르몬의 불균형이 일어나는 이유는 우리가 행하는 폭식, 심한 다이어트, 무리한 운동등이 있으며,  내부 기작으로 호르몬 샘에서 호르몬이 너무 많이 분비되거나 너무 적게 분비되는 경우, 그리고 호르몬 수용체 자체의 기능 손상등에 의해서 몸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대두된 것으로, 우리가 흔희 사용하는 음식을 담는 플라스틱 용기나 비닐 제품의 성분 중에는 호르몬과 구조가 유사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섭취하는 경우 정상 호르몬의 작용을 교란하여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 자연스럽게 우리주의에서 일어나는 호르몬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갱년기가 있습니다.

 

4. 갱년기 증상이란?

성숙기기에서 노년기로의 이행기에 내분비기능, 특히 난소기능이 쇠퇴하여 차츰 월경불순과 무배란 등 일어나고 폐경에 이르게됩니다. 이때 갱년기가 찾아오며 갱년기는 개인차가 있는데 대체로 45세에서 55세에 발생됩니다. 이 시기에는 자주 발작성 흥분, 안면홍조, 두통, 심계항진, 현기증, 이명, 불면증 등의 증상이 발생되며 위장장애, 정신장애 등, 여러가지 증상상들이 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증상을 수반하는 증후군을 갱년기장애(climacteric disorder)라고 합니다. 이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여성호르몬을 추가 복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5. 갱년기 증상을 완화해주는 건강기능식품 원료

갱년기 증상은 규칙적 운동, 체중 조절,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금연 등으로 안면홍조는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운동으로 인한 근력의 강화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므로 골밀도 감소에 의한 골절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갱년기 증상에 도움을 줄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1)고시형 기능성원료

   (1) 홍삼

   ▶ 원재료 : 수삼(Panax ginseng C.A. Meyer) 증기 또는 기타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홍삼 

   ▶기능성분(또는 지표성분) 함량 :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 하여 2.5 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기능성 : 면역력 증진 피로개선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 기억력 개선 항산화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있음

   ▶일일섭취량 :

     () 면역력 증진 피로개선에 도움을 있음 :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 합계로서 3 ~ 80 mg

     ()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기억력 개선 항산화에 도움을 있음 : 진세노사이드 Rg1, Rb1 Rg3

             합계로서 2.4 ~ 80 mg
    (
)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있음 : 진세노사이드 Rg1,Rb1 Rg3 합계로서 25 ~ 80 mg

 

  (2) 회화나무열매추출물

   ▶ 원재료 :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 열매

   ▶기능성분(또는 지표성분) 함량 : 소포리코사이드(Sophoricoside)로서 100 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기능성  :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있음

   ▶일일섭취량 : 회화나무열매 추출물로서 350mg

 

 2) 개별인증형 기능성원료

 

오늘은 호르몬과 갱년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혹 상기의 내용으로 자가진단도 해보시고 필요하다면 의사의 상담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우리몸은 건강할때 잘 보전하고 지켜야 됩니다.

 

오늘도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고품질의 삶을 살아가시길 기원합니다.

 

다음시간에는 생식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