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이상기온현상에 의해서 여름이 빨리 오고 길게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더울 때 많이 찾는 얼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냉장고얼음, 제빙기 얼음, 정수기 얼음 등은 우리 스스로가 위생적으로 관리해 깨끗한 얼음을 얻을 수 있으나 상품으로 구매하는 얼음은 믿고 구매할 수밖에 없습니다. 얼음의 위생적 기준과 선택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좀 더 현명하게 구매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1. 식용얼음이란?
식품공전 내 식용얼음의 구분을 보면 빙과류에 얼음류에 속합니다. 얼음류라 함은 식품의 제조·가공·조리·저장 등에 사용하거나 그대로 먹을 수 있도록 먹는 물을 냉동한 것을 말합니다.
2. 식용얼음의 규격
식용얼음은 먹는 물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세부적으로 기준규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염소이온은 250mg/L 이하이며, 질산성질소 10.2mg/L 이하, 암모니아성질소 0.5mg/L 이하, 과망간산칼륨소비량 10.0mg/L 이하입니다. PH는 4.5~9.5 사이이며 세균수는 n=5, c=2, m=100, M=1,000이고 대장균군은 n=5, c=2, m=0, M=10/50mL입니다. 헉~ 이게 무슨 말이지 하시는 분들을 위해 조금 더 설명드리겠습니다.
3. 기준 상세설명
1) 염소이온은 1리터당 250mg 이하로 얼음 속(물)에 관리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염소를 물에 주입하면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소독효과를 가지고 있어 상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배관의 미생물이나 박테리아, 이질, 콜레라, 장티푸스 등 수인성 전염병균을 소멸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많이 내포될 경우 염소냄새와 금속을 부식시키고 발암물질형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기준을 세우고 관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2) 질산성질소는 1리터당 10.2mg 이하로 얼음 속(물)에 관리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질산성질소는 유기물 속의 질소화합물이 산화 분해해 무기화한 최종 산물이며 유기오염의 정도를 나태는 측도입니다. 즉 오염원이 얼마나 내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암모니아성질소는 1리터랑 0.5mg 이하로 얼음 속(물)에 관리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물속에 암모니아성 질소가 용해되어 있는 암모니아염을 말하며 이 양은 질소량을 나타냅니다. 주원인은 가축의 배설물 등 분변에 대한 오염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위생적 처리를 통해 무해하지만 병원성 미생물을 동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4)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은 1리터당 10.0mg 이하로 얼음 속(물)에 관리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물속에 유기물뿐만 아니라 산화되기 쉬운 무기물을 산화하는데 소비되는 과망간산칼륨의 양을 의미합니다. 수질관리 기준 중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1mg/L일 때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은 4mg/L에 해당합니다. 물론 COD는 주로 유기물상태를(당, 알코올, 단백질 등의 유기물) 기준로 하지만 무기물 중 제1 철이온, 아황산이온, 아질산이온, 황산물 등의 무기물도 과망간산칼륨을 소비하게 되며 이를 유추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5) PH는 물의 산성이나 알칼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수소이온 농도의 지수입니다. 물은 그 일부가 전리하여 수소 이온(h+)과 수산이온(OH-)이 공존하며 이 둘의 농도가 동일하면 중성이고 H+많으면 산성, OH-가 많으면 알칼리성이 됩니다. 우리가 말하는 중성은 PH7을 의미하고 1로 가까울수록 산성, 10에 가까울수록 알칼리성이 됩니다.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물도 중성이므로 그 값을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6) 세균수 n=5, c=2, m=100, M=1,000의 의미는 시료 5개의 미생물 콜리니 생성수는 100개 이하를 말합니다. 그중에 2개는 1,000 콜리니(colony) 이하로 허용이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먹는 물 기준에서 세균수는 물이 미생물에 오염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준을 초과할 경우 폐기를 진행해야 됩니다. 또한 기준 초과의 경우 식중독 및 복통,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고 기본적인 위생관리의 지표가 되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7) 대장균군 n=5, c=2, m=0, M=10/50mL은 5개의 샘플의 모두 음성이어야 하나 시료 중 2개는 양상반응을 허용해 주는 범위입니다. 대장균군은 얼음(물)이 미생물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이며 암모니아성 질소와 마찬가지로 분변오염의 측도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분석항목 모두 수치가 낮을수록 우리 몸에 이롭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4. 식용얼음 확인점검
식용얼음도 식품공전에 속한 식품유형이며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지속적 관리가 되고 있으며 이런 통계는 식품안전나라에서 통계자료에 등록되고 있습니다.
또한 상기의 기준규격을 벗어난 얼음이 판매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진행하는 수거검사에서 적발될 수 있으며 이런 제품은 구매하시지 않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품으로 구매하는 각얼음, 돌얼음, 컵어름, 칵테일얼음 등등 제조공장에서 적법하게 만들어지고 있으나 2022년의 통계기준을 확인한 결과 커피전문점, 패스푸드점 등에서 사용하는 제빙기의 얼음에서 기준을 초과한 얼음들이 판매되었다는 결과를 보았습니다.(숫자로 보는 식품안전나라. 여름철 제빙기 식용얼음 부적합률) 이 자료에 의하면 제빙기 얼음에서 3건 정도가 발생되었으며 상품의 경우에는 1건이 발생된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안전날의 링크를 아래와 같이 남겨두오니 구매 전 혹 문제 있는 제품인지 확인 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링크
식품안전나라 (foodsafetykorea.go.kr)
식품안전나라
국내뉴스 밀크초콜릿 비교정보 생산 결과 밀크초콜릿, 당류 함량 높아 과다 섭취 주의해야 - 11개 제품 당류 함량, 1일 당류 섭취량 WHO 권고기준 초과 - 초콜릿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www.foodsafetykorea.go.kr
회수판매중지식품 검색하시면 됩니다.
'알면 쉬운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스크림, 최고의 여름간식, 여름간식 1위, 알고먹자^^ (1) | 2023.06.01 |
---|---|
우리 아이들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챙기기 (2) | 2023.06.01 |
여성건강, 자궁내막증, 증상과 원인,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3.05.22 |
여성건강 50대 위험요소 난소낭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3.05.22 |
블랙푸드. 흑삼이란? 면역력 증가에 흑삼이 좋다? (1) | 2023.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