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4

표준위생관리기준 SSOP에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빛날 이입니다. 오늘은 식품에 관해 이것저것 찾아보다 SSOP라는 단어를 보게 되었으며 이것이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아마 ~ 식품을 전공한다던지 아니면 식품업계 종사자들께서는 이미 알고 있든지 필요한 정보라 생각됩니다. 글럼 SSOP가 뭘까요? 한번 알아보죠^^ 제가 찾오 본 것 중 HACCP, GMP, FSSC 인증준비할 때 교육자료에 보면 SSOP라는 단어가 주로 나오는 것 같아요. 1. 정의 SSOP를 한국표현으로 "표준위생관리기준"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Sanitati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라고하며 이를 축약어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위생시설) (기준) (운영상의) (절차) 해석하면 위생시설 기준을 운영하는 절차?? 뭐 이렇게 되겠죠? SSOP.. 2023. 3. 16.
식품이력관리 시스템 사후관리 내용 안녕하세요? 빛나리입니다. 오늘은 식품이력관리 시스템의 사후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관리가 되지 않으면 그 효과는 무의미할 것입니다. 그래서 식품이력관리 시스템도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조업, 수입업, 건강기능식품유통전문판매업의 식품이력추적관리 조사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1. 조사평가의 법적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세부 내용은 찾아보시는 걸로) (식품위생법 제49조제5항 : 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제1항에 따라 등록한 식품을 제조ㆍ가공 또는 판매하는 자에 대하여 식품이력추적관리기준의 준수 여부 등을 3년마다 조사ㆍ평가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 단서에 따라 등록한 식품을 제조ㆍ가공 또는 판매하는 자에 대하여는 2년마다 조사ㆍ평가하여야 한다. 건강기능식품에 관.. 2023. 3. 15.
소비자의 눈으로 보는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안녕하세요? 빛나리입니다. 앞서 이력추적관리번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전글은 영업자가 필요한 내용이 많아 오늘은 소비자인 우리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는 식품(건강기능식품)을 제조. 가공단계부터 판매단계까지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식품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식품을 추적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식품위생법 제2조[정의 ]13호,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6호) 한마디로 문제식품에 대한 역추적을 할 수 있도록 하겠는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소비자 입장에선 안전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의미라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의 의무식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런.. 2023. 3. 15.
건강기능식품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빛나리 입니다. 혹시 건강기능식품표기사항 중 이력추적관리번호라는 생소한 단어가 있는것을 보셨나요? 관심이 있으신 분들 혹은 식품수입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알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잘몰라요~ 그래서 오늘은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의 도입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식품(건강기능식품)을 제조. 가공단계부터 판매단계까지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식품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식품을 추적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 (식품위생법 제2조[정의 ]13호, 건강기능식품에관한 법률 제3조 6호) 한마디로 문제식품에 대한 역추적을 할수 있도록 하겠는다는 의미입.. 2023.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