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Hypertension)은 말 그대로 혈압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고혈압 상태에서도 우리는 별도의 증상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고혈압인지 모르고 지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고혈압은 굉장히 무서운 증상입니다. 멀쩡하던 사람을 갑자기 죽이는 병으로 '조용한 살인자'라는 별명이 있는 병입니다.
이런 고혈압에 대해 자세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혈압의 원인
1) 1차성 고혈압 : 뚜렷한 원인이 없는 고혈압으로 성인 고혈압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원인으로는 가족력, 음주,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등을 들 수 있으나 정확한 상관관계를 알 수 없음.
- 원인 : 가족력(유전) : 병원에 가면 '가족 중에 고혈압이 있나요?' 라고 묻는 이유임
환경 : 짜게 먹는 식습관과 비만은 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됨
2) 2차성 고혈압 : 뚜렷한 원인이 있는 고혈압(다른 질병에 의해 발생)
2. 고혈압의 진단
성인의 정상 혈압은 최고/최저 혈압이 120/80 mmHg이며,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140/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고혈압은 본인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건강검진받을 때나 알 수 있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감기 등으로 병원에 내원할 경우 병원에 비치되어 있는 자동 혈압계를 사용해서 체크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고혈압의 위험성
서두에서 말한 것처럼 고혈압은 '조용한 살인자' 라고 부르는 이유는 증상 없이 우리 몸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가장 흔한것은 심장질환입니다. 심장은 평소 혈관으로 혈액을 보내야 하는데 혈관의 압력이 높으면 심장이 혈액을 내보는데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그로 인해 심부전, 심근경색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은 목뒤를 만지게 되는데 이 증상이 심해지면 후두통 및 뇌출혈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장이 손상되는데 이는 단백질과 포도당이 소변으로 나오게 되며 결국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고혈압 환자의 식습관
고혈압이 있는 분들은 반듯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혈압약 먹기) 하지만 우리의 식습관도 분명히 고쳐져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저염식 입니다.
소금은 하루 총섭취량이 5g (WHO 권장기준)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소금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 국, 찌개의 국물과 김치등 염장식품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국물은 남기면 약 1g의 소금 섭취를, 김치 섭취량을 절반 정도로 줄이면 약 1g의 소금섭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조리할 때는 된장, 간장, 고추장 등 소금이 많은 양념 대신 고춧가루, 레몬, 식초, 생강, 마늘, 후춧가루 등의 자연 향신료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음식의 온도가 높으면 짠맛이 덜 느껴지기 때문에 조리 후에 간을 맞추면 소금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채소, 과일에는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혈압을 높이는 주범이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서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칼륨이 높은 채소로는 아욱, 부추, 시금치, 근대 등이 있으며 과일에는 토마토, 키위, 참외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식이섬유 섭취를 늘리면 고혈압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5. 자가테스트 : 나는 짜게 먹고 있을까? 질문에 yes(예), No(아니요)로 답해 보세요~
1) 생채소 보다 김치를 좋아하는가?
2) 볶음밥, 비빔밥, 덮밥을 좋아하는가?
3) 양식보다 중식, 일식을 좋아한다?
4) 튀김, 전, 생선회 등에 간장을 듬뿍 찍어 먹는다?
5) 말린 생선이나 고등어자반을 좋아한다?
6) 식탁에 명란젓 등 젓갈류가 없으면 섭섭하다.?
7) 음식이 싱거우면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는다?
8) 국, 찌개, 국수 등의 국물을 남김없이 먹는다?
9) 외식을 하거나 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일이 잦다?
10) 요리를 먹을 때 마요네즈나 드레싱을 잘 사용한다?
11) 라면 국물을 다 먹는다?
12) 젓갈, 장아찌를 잘 먹는다?
12 항목 중 5가지 이상이면 고염식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식습관에 변화를 주도록 노력하세요^^
※ 소금 1g에 해당하는 양념 분량
고추장 5g, 진간장 5g, 된장 10g, 토마토케첩 30g, 마가린 및 버터 30g, 마요네즈 40g
우리가 사용하는 양념에 생각보다 많은 소금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기 전 한 번 더 생각하고 사용합시다.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우리 몸에 이상증상을 최소화하고 활력 있고 즐거운 삶을 오늘도 살아봅시다.
맛있게 먹고, 즐겁게 운동하고, 재미나게 일하는 삶이 제가 생각하는 천국입니다.
감사합니다.
'알면 쉬운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질환 설사 해결방법 (0) | 2023.11.02 |
---|---|
골다공증의 진단과 올바른 식습관 (0) | 2023.11.01 |
당뇨병과 식사방법 (1) | 2023.10.26 |
비만의 기준과 식사방법 (2) | 2023.10.25 |
임신기 바른영양 (0) | 2023.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