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쉬운 잡다한 정보

빈혈의 증상과 예방 식습관?

by 빛나리77 2023. 11. 3.

빈혈은 체내 혈액의 '양'이 줄어는 걸 빈혈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는 혈액 속 적혈구의 수가 감소하거나, 헤모글로빈이 부족하여 인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일은 혈액 내의 적혈구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을 기준으로 하여 빈혈을 진단합니다.

 

1. 빈혈의 원인

빈혈의 원인은 철분 신진대사와 연관이 큽니다. 신체는 대부분 체내에 존재하는 철분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헤모글로빈 생성을 위해 필요한 하루 철분의 양이 1~3mg 정도의 소량이 필요합니다. 음식으로 섭취한 철분은 십이지장에서 대부분 흡수하게 되며 필요량 이상으로 섭취되면 장세포 내에 보관되거나 대변으로 배출되게 됩니다. 흡수된 철분은 페로폴틸(ferroportin)이라는 단백질을 통해 혈관으로 운반되고 이는 골수에서 철분을 이용해 헤모글로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빈혈이 발생되는 원인은 다음고 같습니다.

 1) 적혈구의 생산과 파괴의 균형이 깨어질 때 : 골수에서 생성되고 지라에서 파고는 적혈구는 120일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산과 파괴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면 적혈구의 량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2) 적혈구 생산 감소 : 적혈구 생선을 위해서는 줄기세포(stem cell)와 그것을 둘러싼 골수의 지지조직이 필요하며 혈색소의 원료가 되는 철이 필요합니다. 이것들이 정상적 기능, 철의 부족시 생산이 감소하게 됩니다.

 3) 용혈현상 : 적혈구의 수명은 120일 정도 됩니다. 하지만 수명을 다하기 전 파괴되는 용혈(hemolysis)로 용혈빈혈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4) 출혈 : 많은 출혈로 인해 혈액을 소실하게 되면 적혈구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골수의 적혈구 생산능력 이상일 때 출혈성빈혈이 발생됩니다.

 

그 외 이차성 빈혈로 만성감염증, 종양, 콩팥질환, 간질환, 내분비질환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2. 빈혈의 발생현황

빈혈은 성별, 나이, 임신여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납니다. 정상적인 헤모글로빈 수치는 15mg/dl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진단기준은 6개월에서 6세까지의 어린이나 임산부의 경우 11mg/dl이하, 임신을 하지 않은 여성과 6~15세 청소년은 12mg/dl이하, 15세 이상의 남성은 13mg/dl 이하인 경우를 빈혈이라 진단하게 됩니다.

질병관리청 통계자료

질병관리청 통계자료를 보게 되면 빈혈의 유병률은 약 8.4% 정도 됩니다.

질병관리청 통계자료

질병관리청 통계자료 중 성병, 연령별 빈혈발생 비율입니다. 70세 이상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발병률이 높아지며,  40세 여성에게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노인인구는 소화기능과 식습관, 임산부에게 철 결핍성 빈혈이 흔하게 발생됩니다.

 

3. 빈혈의 증상

빈혈이 있을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1) 전신증상 : 피로, 권태

 2) 신경학적 증상 : 두통, 둔중감(머리가 무거운 느낌), 현기증, 주의력 저하

 3) 심혈관 및 호흡기 증상 : 흉통, 빈맥, 심장비대(혈액공급을 무리하게 하기 때문, 4배 정도 많은 혈액을 공급)

 4) 소화기증상 : 설사, 변비, 식욕부진, 소화불량(혈액공급 부족으로 소화기능 저하)

 5) 피부 : 창백, 설염, 손톱변형 등이 발생

 6) 여성들의 생리불순 발생

 

4. 빈혈이 있을 때 식습관 관리방법

 먼저 철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그래서 육류와 같은 동물성 식품 중에 들어있는 철분이 몸에서 흡수, 이용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비타민C는 철분의 흡수를 도와주므로 비타민C함량이 높은 채소와 과일 등을 같이 섭취합니다.

녹차, 홍차, 커피는 철분의 흡수를 저해하는 성분들이 함유되고 있으므로 이런 음료는 식후 1시간 이내에 마시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성분별 많이 포함된 식품

  (1) 철분 : 살코기, 달걀노른자, 간, 선지, 내장, 메추리알, 굴, 멸치, 미꾸라지, 굴비, 꽁치, 양미리, 가오리, 가자미, 뱅어포, 파래, 미역, 다시마, 콩류, 팥, 녹색 채소류

  (2) 비타민B12 : 간 콩팥, 어육류, 가금류, 우유 및 유제품, 생과일, 생채소류

  (3) 엽산 : 간, 콩팥, 살코기, 달걀, 녹색채소류, 아스파라거스, 말린 두류, 견과류, 전곡류

  (4) 단백질 : 육류, 생선, 콩류, 우유, 달걀

 

10명 중 2명은 빈혈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철분, 비타민 등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골고루 먹는 식습관을 가지고 건강을 잘 챙기는 우리가 되어야겠습니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는 겁니다. 오늘도 파이팅 합시다.

감사합니다.

댓글